안녕하세요~ 꾸둥이 입니다~
저는 오늘 [온라인] 2022년 GCP 신규자 과정 (6시간)을 수료 완료 했습니다!
Konect 에서 강의 들었습니다!
수료를 완료하려면 TEST를 통과해야 수료증이 발급되는데요~
TEST 문제 수준은 어느정도 내용만 숙지하면 쉽게 통과할 수 있는 수준이였어요.
그래도 아직 GCP 교육을 안들으신 분들이나,
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숙지하면 좋을지 궁금하실 분들을 위해서
[온라인] 2022년 GCP 신규자 과정_TEST 문제 리스트 적어올려 봅니다.
보시고 이런부분을 숙지하면 되겠다~ 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.
답안은 일부러 올리지 않았습니다!
없어도 충분히 푸실 수 있고, 재시험도 가능하니 너무 걱정하지마시고
편하게 보시면 됩니다 (●'◡'●)
문제 리스트
1.1964년 헬싱키 선언을 토대로 임상시험 피험자의권익보호 차원에서 윤리적인 발전과 과학화를 추진하고 임상시험에 관한 각종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하여 제정된 기준은?
2.취약한 환경에 있는 연구대상자는?
3.내약성 평가 및 약동학과 약력학 정의와 관련된 임상시험은?
4.다음 중 임상시험 관련자에 포함되지 않는 직종은 무엇인가?
5.임상시험실시기관장의 역할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?
6.임상시험 시험자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7.임상시험 의뢰자의 책임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?
8. 다음 중 규제기관의 역할이 아닌것은?
9. 임상시험 결과의 삐둘림을 방지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설계장치는 무엇인가?
10.임상시험 계획서에 작성 원칙 중 잘못된 것은?
11.MFDS GCP 규정상 의뢰자 주도 임상시험에서 연구대상자 보상의 책임자는?
12.환자를 대상으로 시험약의 단기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임상시험은?
13.임상시험의뢰자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14.임상시험 계획 승인시에 반드시 필요한 자료가 아닌것은 무엇인가?
(다 중요자료지만 반드시 필요가 아닌거 에요!! 필수가 아닌거!)
15.대상자 수 산출시 고려점 중 잘못된 것은?
입니다~
신규자가 이해하기에도 쉽고 내용도 알찬 Konect GCP 교육이였습니다~
저와 같은 신규 CRA 분들 및 임상연구 관련 종사자 분들
모두모두 화이팅 하시기 바랍니다~! (ノ◕ヮ◕)ノ*:・゚✧
'꾸둥이의 CRA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RA 업무_임상시험 모니터링 MONITORING (0) | 2022.05.03 |
---|---|
GLP・GMP・GCP 란 무엇일까? (0) | 2022.04.29 |
신약이란 무엇인가?, 의약품 연구개발의 단계 (0) | 2022.04.29 |